한눈에 들어오는 남북 언어

노친네*

올림말
노친네*
원어
老親-
품사
명사
표대
‘노인’을 낮잡아 이르는 말.
조대
《늙었거나 늙수그레한 녀자》를 이르는 말.
늙었거나 중년기에 이른 부부사이에서 《마누라》를 친근하게 이르는 말.
설명
남에서는 ‘노친네’가 성별의 구별 없이 ‘노인’을 낮잡는 말로 쓰이는 반면, 북에서는 ‘늙은 여성’을 이르거나 남편이 나이 든 아내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로 쓰인다. 남에서 나이 든 부부 사이에서 서로를 ‘노친네’라고 부른다면 타박하거나 놀리는 말이 되지만, 북에서는 남편이 아내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이 되는 것이다.
예문
⦁ 그의 눈에는 늙어서도 변함없는 애틋한 숨은 정이 어려있었다. 《왜 늙은건 로친네 생각두 못한답데?》 《아니 정말 령감이 오늘은 무슨 … 누가 듣겠수다.》 문씨는 령감의 롱말에 새각시처럼 얼굴을 붉히며 얼핏 울타리밖을 살피였다.** 《변희근 : 뜨거운 심장》
⦁ 나하구 로친네, 맏아들내외와 손주들이 있습니다. 그리구 뜨락또르***운전수를 하는 둘째가 있고 셋째놈은 군사복무중이외다. 《김삼복 : 대지의 딸》
⦁ 다 자란 자식들을 거느린 로년기에 이른 부부간에는 젊은 자식들과 마찬가지로 서로 《여보》라고 부르는것이 보통이며 때로는 《령감》, 《로친네》, 《마누라》라고 부르는것도 자연스럽다. 〈송윤금 : 부부사이에 지켜야 할 부름말례절〉****
⦁ 며칠동안 출근해보던 령감이 신중한 어조로 어쩐지 몹시 갑자르면서***** 말하는것였다. 《여보 로친네, 아무리 생각해두 안되겠어.》 〈박춘섭 : 보금자리〉
⦁ 춘보는 오전중으로 서둘러 끝내고 뒤산******에 가서 로친네, 아들, 며느리들과 함께 점심을 먹을 작정으로 일손을 놀렸다. 《오태준 : 푸른 숲의 노래》
기타
*북에서는 ‘로친네’라고 한다.
**남측에서는 ‘영감’, ‘농말’, 북측에서는 ‘령감’, ‘롱말’이라고 한다.
***남측에서는 ‘트랙터’, 북측에서는 ‘뜨락또르’라고 한다.
****남측에서는 ‘노년기’, ‘예절’, 북측에서는 ‘로년기’, ‘례절’이라고 한다.
*****갑자르다: 말을 하기가 어렵거나 거북하여 주저하며 낑낑거리다. 《조대》
******남측에서는 ‘뒷산’, 북측에서는 ‘뒤산’이라고 한다.

남북 언어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