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들어오는 남북 언어

긋다

올림말
긋다
품사
동사
표대
[1] 【…에 …을】 ① 어떤 일정한 부분을 강조하거나 나타내기 위하여 금이나 줄을 그리다.
② 【…을 …으로】 성냥이나 끝이 뾰족한 물건을 평면에 댄 채로 어느 방향으로 약간 힘을 주어 움직이다.
물건값이나 밥값, 술값 따위를 바로 내지 않고 외상으로 처리하다.
④ 일의 경계나 한계 따위를 분명하게 짓다.
⑤ 시험 채점에서 빗금을 표시하여 답이 틀림을 나타내다.
⑥ 손이나 손가락으로 허공에 어떤 것을 그리는 동작을 하다.
[2] 【…에서 …을】 명단에서 이름을 빼거나 문장이나 글의 일부분을 삭제하다.
[3] 【…을】 활 따위를 쏘다.
조대
① 뾰족한것이나 가느다란것 또는 그밖의것으로 땅바닥이나 어떤 물체의 표면에 대고 당기여서 줄이나 자취를 내다.
② (불을 켜기 위하여) 성냥가치를 대고 당기다.
③ (한계나 구분을) 똑똑히 짓다.
(숨을) 길게 쉬다.
(《선창》과 결합하여 쓰이여) 먼저 나서서 시범적으로 읽거나 말하거나 노래하다.
설명
“금이나 줄을 쭉 그리거나 자취를 남기다”라는 뜻으로 남북에서 모두 쓰인다. 이 기본 의미에서 파생된 의미들도 남북이 대체로 일치한다. 다만 남에서는 “장부에 외상 거래를 적다”라는 뜻으로도 쓰여, ‘외상을 긋다’와 같은 표현이 나타난다. 한편 북에서는 “숨을 길게 쉬다” 또는 “말이나 노래 등의 시범을 보이다”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이런 의미로 쓰인 ‘한숨을 긋다’, ‘선창을 긋다’ 등의 표현은 남에서는 찾기 어렵다.
예문
⦁ 번번이 선구가 밥값을 치르고 또는 외상을 그어 놓고 나는 이쑤시개만 물면서 일어서곤 했다. 《서기원 : 이 성숙한 밤의 포옹》
⦁ 여자가 계산대에 가 외상을 그으려 하자 주인이 외상 장부를 꺼내 보이며 실랑이가 벌어졌다. 《박소연 : 눈부처》
⦁ 그는 가벼운 한숨을 그었다. 《황용국 : 이땅을 사랑하라》
⦁ 마음이 어수선하여 앉아있던 효심은 괴로움을 안고 모대기는* 딸의 정상을 측은하게 바라보다가 한숨을 그었다. 《김응일 : 비약의 열풍》
⦁ 석형원사는 창가로 눈길을 돌리며 꺼지게 한숨을 그었다. 《리규춘 : 신념과 인간》
⦁ 홍숙희는 대답대신 산판의 이깔나무**들을 바라보며 나직이 한숨을 그었다. 《최성진 : 숲으로 간 사람》
⦁ 누구인가 선창을 그어 노래를 불렀다. 《조대》
⦁ 만세의 선창을 긋다. 《조대》
기타
* 모대기다: ① (괴롭거나 안타깝거나 하여) 몸을 이리저리 뒤틀며 움직이다. ② (어떤 문제나 생각이 풀리지 않아) 이리저리 애써 생각하다. ?조대?
**남측에서는 ‘잎갈나무’, 북측에서는 ‘이깔나무’라고 한다.

남북 언어 시리즈